🚀< 데이터 전송 방식 >🚀
회선 교환 방식(circuit exchange method),패킷 교환 방식(packet exchange method)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 회선 교환 방식🤔 >
회선 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교환하기 전, 일대일의 전송로(데이터 통로)를 만들고, 교환을 마칠 때까지 전송로를 계속 사용하는 방식이다. 회선 교환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고정 전화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고정 전화는 회선 교환기로 구성된 회선 교환 네트워크에 일대일의 논리적인 전송로를 만들고, 접속을 끊을 때까지 이를 계속 사용한다. 그리고 접속하는 동안에는 해당 회선을점유하며 다른 전화를 받을 수 없다. 즉 통화 중 상태가 되는 것이다.
TSS를 사용하던 시기에는 원격지에 있는 TSS 단말에서 대형 컴퓨터에 전화를 거는 회선 교환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했다. 회선 교환 방식은 회선을 점유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데이터가 흐르지 않을 때도 회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선 이용 효율이 낮아 데이터의 교환에 적합한 통신 방식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웹사이트를 보는 경우를 예로 들어 생각해보자. 이때 데이터 다운로드는 곧바로 완료되고, 대부분의 시간은 표시된 이미지를 보거나 텍스트를 읽는 데 사용한다. 모처럼 회선을 점유했음에도 그저 낭비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회선 이용 효율을 향상할 목적"으로 새롭게 고안된 것이 바로 패킷 교환 방식이다.
<🤔 패킷 교환 방식🤔 >
패킷 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패킷(packet)이라 부르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네트워크로 보내는 방식이다.
패킷은 영어로 '소포'라는 의미이다. 우체국 소포에 화물표를 붙이는 것처럼, 송신 측 컴퓨터는 데이터에 헤더(header)라는 정보를 붙여 패킷 교환기(네트워크 기기)로 구성된 패킷 네트워크로 패킷을 보낸다.
헤더에는 수신 컴퓨터 정보, 데이터 중 몇 번째에 해당하는 패킷인지에 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는 헤더 정보를 보고 수신 컴퓨터로 패킷을 전달한다. 그리고 수신 컴퓨터의 헤더 정보를 보고 원 데이터로 복원한다. 패킷 교환 방식은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회선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회선을 사용해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회선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상의 어딘가에서 패킷이 사라지거나 패킷이 손상되어도 모든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 없이 해당 패킷만 다시 전송하면 되므로 곧바로 복구할 수 있다. 인터넷을 필두로 하는 현대 네트워크는 거대한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 되어 있으며,
패킷 교환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유튜브 동영상은 물론 네이버의 첫 페이지도 어딘가에 있는 컴퓨터(서버)가 인터넷이라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 보낸 패킷이다. 내 PC가 해당 패킷들을 원 데이터로 복원해서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설령 경로상의 어딘가에서 예쌍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전송해서 복구할 수 있으므로 신경 쓰지 않고 즐길 수 있다.
Source :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52227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통신을 위한 규칙) (0) | 2023.05.28 |
---|---|
네트워크란 (0)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