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ole.log( ) 함수를 살펴보면 자연스럽게 () 안에 값들을 넣고 있었다. 그 값을 파라미터(매개변수)라고 한다.
매개변수 내에서 변수처럼 이용할 수 있다.
function 함수이름(파라미터) {
console.log(파라미터)
}
함수이름(값) --> 함수 호출
함수 호출 할 때, 소괄호 입력한 값(Argument)이 파라미터에 전달되는 개념
**Argument와 Parameter는 헷갈리면 안 된다**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에서 파라미터로 전달하는 값이 Argument
함수 선언 부분에서 소괄호에 작성되는 것이 Parameter 다.
예시
function welcomecode(Kick,Gwagon) {
console.log ('여기에 ' + Kick + ' 다음')
console.log ('와따머고 ' + Gwagon + ' 다음다음')
}
welcomecode('여기에','떠나야해')
여기에 여기에 다음
와따머고 떠나야해 다음다음
function welcomecode(x, y) {
console.log ( x * y )
}
welcomecode(2, 4)
8
function hello(name) {
console.log(`my name is ${name!}`);
}
hello()
위와 같이 Argument에 아무 값도 입력해주지 않으면,
my name is undefined 값이 출력된다.
그런데 이때 파라미터에 할당 연산자를 활용하여 기본 값을 작성하게 되면 Argument를 작성하지 않아도 동작한다.
function hello(name = `tae`) {
console.log(`my name is ${name!}`);
}
hello()
출력 값은 my name is tae! 가 된다.
function defaultTest(x, y = x + 3){
console.log(`x: ${x}`);
console.log(`y: ${y}`);
};
defaultTest(5,)
위와 같이 Argument에 x값만 전달할 경우.
x: 5
y: 8
y값에 x값이 대입 해져서 결과적으로 5+3이 되어 y값은 8이 되며.
Argument에 y값도 전달할 경우
x: 5
y: 3
그대로 y값이 전달된다.
'Javascript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Promise 문법 정리 (0) | 2023.04.13 |
---|---|
Module (0) | 2023.04.13 |
Falsy 값과 Truthy 값은 무엇일까? (0) | 2022.08.01 |
Boolean 불 대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8.01 |
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 써보자!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