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ng

Spring + View template을 사용할 때 흔히 사용하는 타입

@GetMapping("/test")
public String test(Model model) {
 String str = "GoCoder";
    model.addAttribute("data", str);
    return "/test/data";
}

Model.addAttribute 안에 "key"를 생성하고, 보낼 "value" 값을 담고, return 타입을 String 값으로 뷰의 이름을 지정해주면 V해당 View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View에서는 해당 데이터의 key값을 객체 이름으로 해서 데이터를 가져 온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p>${data}</p>
    </body>
</html>

 

그런데 model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바로 Model, ModelMap, ModelAndView. 구글링을 하다보면 예제마다 다른 객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으므로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Model & ModelMap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Model과 ModelMap은 같은 기능. Model은 인터페이스이고, ModelMap은 구현체인데, 스프링 내부적으로는 사용하는 개체의 타입이 동일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ModelAndView

반면 ModelAndView는 Model과 View를 동시에 설정가능한 객체. Controller는 ModelAndView 객체만을 반환하지만 Model과 View 모두를 가지고 반환. 생성자로 뷰의 이름을 저장하거나 setViewName() 매서드를 사용하여 뷰 네임을 지정하고, addObject() 메서드로 데이터를 저장 한다.

 

@GetMapping("/test")
public ModelAndView test() {
    ModelAndView mav = new ModelAndView("test/viewPage");
    modelAndView.addObject("data", "Baeldung");
    return mav;
}

 

redirect

redirect: 접두어를 붙이게 되는 경우 지정한 페이지로 리다이렉트가 되게 된다. 리다이렉트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redirect: /api/test -> 현재 서블릿 컨텍스트에 대한 상대적인 경로로 리다이렉트를 하게 된다.

redirect: http//:localhost:8080/api/test ->  같이 전체 경로를 적는 경우 절대 경로로 리다이렉트를 하게 된다.

 

 

 

void

하지만 독특하게 Spring에서는 뷰의 이름을 지정해주지 않아도 Spring이 해당 url을 보고 뷰 네임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 설정 파일에 RequestToViewNameTranslator 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DefaultRequestToViewNameTranslator구현체를 사용한다. 이 클래스는 요청 url에서 제일 앞의 '/'와 확장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뷰 네임으로 지정하게 된다.

@GetMapping("/test/address")
public void void(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user", data);
}

 

 

위의 예제에서는 test/address가 뷰 네임으로 지정되게 된다.

 

 

 

@ResponseBody

위의 방법들은 모두 전통적인 Spring MVC 컨트롤러인 @Controller를 사용한 형태로써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했다. 하지만 Spring MVC의 컨트롤러에서도 JSON/XML과 같은 데이터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Spring MVC 컨트롤러에서는 데이터를 반환하기 위해서 @ResponseBody 애노테이션을 붙여줌으로써 JSON 형태로 데이터를 반환해줄 수 있게 된다. 주로 SPA나 ajax,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와 같은 REST SERVER로서의 역할을 할 때 사용하게 된다.

@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GetMapping("/test/account")
	@ResponseBody 
	public Account void(Account Account) {
  		return account;
	}
}

 

 

위의 코드는 Account 객체를 반환하는 형태로써 클라이언트에서는 JSON 데이터로 Account 객체를 받게 된다.

 

 

@RestController

RestController는 Restful Controller의 준말로써, Spring MVC Controller에 @ResponseBody가 추가된 것.

@Controller 대신 @RestController 애노테이션을 붙여줌으로써 @Controller와 @ResponseBody 애노테이션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test")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Account test(Account account) {
        return account;
    }
}

 

 

 

출처:https://ooeunz.tistory.com/101

 

[Spring] Spring MVC: Controller return 타입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controller의 리턴 타입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스프링 부트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 @RestController 애노테이션을 사용했기 때문에 줄곧 json 타입으로 return을

ooeunz.tistory.com

 

Spring을 공부하다가, 우연히 Model이라는 걸 처음 듣게 되었을 때, 음 Model? 

 

 

모형이나 본보기, 회화 조각, 문학, 미술 공예.. 등 다양한 뜻이 나오는데....뭔가 프로그래밍 언어에 적합한 Model의 의미는 못 찾았다....😂 

 

그래서 프로그래밍에 적합한 Model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를 했다.

참고한 예시 코드를 보니 아래와 같았다.

@RequestMapping(value="/modelTest") 

public String test1(Model model) {

    String str = "GoCoder";

    model.addAttribute("test",str);    	

    return "modelTest";

}

model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model.addAttiribute("test",str)에 "첫 번째 매개변수" 값은 개발자가 "직접" 정하는 것

model.addAttribute() 메서드의 첫 번째 매개변수는 개발자가 직접 정하는 키(key), 이 키는 템플릿 엔진(예: Thymeleaf, JSP 등)에서 사용되며, 템플릿에서 "변수를 참조"할 때 사용하는 이름이 된다.

예제 코드에서 model.addAttribute("test", str); 구문은 model 객체에 "test"라는 키로 str 변수를 추가한다. 이렇게 추가된 데이터는 템플릿 엔진에서 "test"라는 이름으로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ymeleaf를 사용하는 경우 리턴된 view 이름 html에서 다음과 같이 템플릿에서 "test"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itle>Model Test</title>
</head>
<body>
    <h1 th:text="${test}"></h1>
</body>
</html>

즉, 첫번째 매개변수 값은 뭐랄까... 서로 떨어져 있는 대상에게 전달할 때 쓰는 우편 봉투와 같은 것, 우편 봉투의 내용은 두 번째 매개변수 값이다!

 

 

참고: Spring Model 이란?

 

 

Spring Model 이란?

안녕하세요. 고코더 입니다. 오늘은 스프링에서 자주 사용하는 Model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Model이란? Model 객체는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생성해 이를 JSP 즉 View에 전달하는 역할을

gocoder.tistory.com

 

 

-@DataTimeFormat-

 

 "@DataTimeFormat"?  우선 처음 들었을 때, Data랑,,, Time이 있으니까 시간과 관련된 느낌을 받았다.

 

사용자로부터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때, 보통 "문자열 형태"로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Web Page에서 날짜를 선택하면 "2023-03-16"과 같은 문자열 형태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이때 문자열 형태의 날짜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변환해야만 한다.

 

그래서 우리 Java 에서는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객체인 "LocalDate", "LocalDateTime" 등을 사용한다.

 

 

이제 더 자세히 알아보자구요! Common~!!!!!

 문자열 형태의 날짜 데이터 -> 자바 객체로 변환하는 이유★

 

①.올바른 날짜인지 확인: "문자열"-> "자바 객체"로 변환하면, 올바른 날짜 형식인지 확인할 수 있다. 잘못된 값이 들어오면 에러를 발생시켜 처리할 수 있다.

 

②. 날짜 관련 기능 활용: 자바 객체로 변환하면, 자바에서 제공하는 날짜 관련 기능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③. 날짜 계산 용이: 객체로 변환하면, 날짜 간의 차이 계산이나 특정 기간을 더하거나 빼는 등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아래는 LocalDate를 이용해서 현재 날짜를 가져오거나, 두 날짜 사이의 차이를 계산, 혹은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반환하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예제 코드다.

 

import org.springframework.format.annotation.DateTimeForma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java.time.LocalDate;
import java.time.Period;

@RestController
public class DateController {
 //Client가 "/calculate-age"로 GET 요청을 보내면 실행되는 코드. request에 "birthDate"라는 parameter를 포함해야 한다. 이 파라미터는 "yyyy-MM-dd" 형식의 날짜여야 한다.
    @GetMapping("/calculate-age")
    public String calculateAge(@RequestParam("birthDate") @DateTimeFormat(pattern = "yyyy-MM-dd") LocalDate birthDate) {
        // 현재 날짜를 가져오는 기능 사용 가능. (.now)
        LocalDate currentDate = LocalDate.now();

        // 두 날짜 사이의 차이를 계산 가능. 
        Period period = Period.between(birthDate, currentDate);

        //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반환 가능.
        return "Your age is: " + period.getYears() + " years, " + period.getMonths() + " months, and " + period.getDays() + " days.";
    }
}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받은 "birthDate" 파라미터 값을 LocalDate 객체로 변환하고 나서.
현재 날짜를 가져오고 나서. birthDate와 현재 날짜 사이의 기간(Period)을 계산 한다.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반환하여 사용자의 나이를 년, 월, 일 단위로 return해준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calculate-age?birthDate=2000-01-01"로 GET 요청을 보낼 경우, 이 코드는 사용자의 나이를 계산하여 "Your age is: X years, Y months, and Z days." 형식으로 반환 해주고 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format.annotation.DateTimeForma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java.time.LocalDate;
import java.time.temporal.ChronoUnit;

@RestController
public class DateController {

    @GetMapping("/days-between-dates")
    public String daysBetweenDates(@RequestParam("date1") @DateTimeFormat(pattern = "yyyy-MM-dd") LocalDate date1,
                                   @RequestParam("date2") @DateTimeFormat(pattern = "yyyy-MM-dd") LocalDate date2) {
        // 두 날짜 사이의 일 수를 계산.
        long daysBetween = ChronoUnit.DAYS.between(date1, date2);

        //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반환.
        return "Days between " + date1 + " and " + date2 + ": " + daysBetween;
    }
}
import org.springframework.format.annotation.DateTimeForma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time.temporal.ChronoUnit;

@RestController
public class DateTimeController {

    @GetMapping("/one-week-later")
    public String oneWeekLater(@RequestParam("dateTime") @DateTimeFormat(pattern = "yyyy-MM-dd'T'HH:mm:ss") LocalDateTime dateTime) {
        // 입력받은 날짜와 시간으로부터 1주일 후의 날짜와 시간을 계산.
        LocalDateTime oneWeekLater = dateTime.plus(1, ChronoUnit.WEEKS);

        //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반환.
        return "One week later from " + dateTime + " is: " + oneWeekLater;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