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ng
Spring + View template을 사용할 때 흔히 사용하는 타입
@GetMapping("/test")
public String test(Model model) {
String str = "GoCoder";
model.addAttribute("data", str);
return "/test/data";
}
Model.addAttribute 안에 "key"를 생성하고, 보낼 "value" 값을 담고, return 타입을 String 값으로 뷰의 이름을 지정해주면 V해당 View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View에서는 해당 데이터의 key값을 객체 이름으로 해서 데이터를 가져 온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p>${data}</p>
</body>
</html>
그런데 model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바로 Model, ModelMap, ModelAndView. 구글링을 하다보면 예제마다 다른 객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으므로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Model & ModelMap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Model과 ModelMap은 같은 기능. Model은 인터페이스이고, ModelMap은 구현체인데, 스프링 내부적으로는 사용하는 개체의 타입이 동일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ModelAndView
반면 ModelAndView는 Model과 View를 동시에 설정가능한 객체. Controller는 ModelAndView 객체만을 반환하지만 Model과 View 모두를 가지고 반환. 생성자로 뷰의 이름을 저장하거나 setViewName() 매서드를 사용하여 뷰 네임을 지정하고, addObject() 메서드로 데이터를 저장 한다.
@GetMapping("/test")
public ModelAndView test() {
ModelAndView mav = new ModelAndView("test/viewPage");
modelAndView.addObject("data", "Baeldung");
return mav;
}
redirect
redirect: 접두어를 붙이게 되는 경우 지정한 페이지로 리다이렉트가 되게 된다. 리다이렉트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redirect: /api/test -> 현재 서블릿 컨텍스트에 대한 상대적인 경로로 리다이렉트를 하게 된다.
redirect: http//:localhost:8080/api/test -> 와 같이 전체 경로를 적는 경우 절대 경로로 리다이렉트를 하게 된다.
void
하지만 독특하게 Spring에서는 뷰의 이름을 지정해주지 않아도 Spring이 해당 url을 보고 뷰 네임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 설정 파일에 RequestToViewNameTranslator 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DefaultRequestToViewNameTranslator구현체를 사용한다. 이 클래스는 요청 url에서 제일 앞의 '/'와 확장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뷰 네임으로 지정하게 된다.
@GetMapping("/test/address")
public void void(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user", data);
}
위의 예제에서는 test/address가 뷰 네임으로 지정되게 된다.
@ResponseBody
위의 방법들은 모두 전통적인 Spring MVC 컨트롤러인 @Controller를 사용한 형태로써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했다. 하지만 Spring MVC의 컨트롤러에서도 JSON/XML과 같은 데이터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Spring MVC 컨트롤러에서는 데이터를 반환하기 위해서 @ResponseBody 애노테이션을 붙여줌으로써 JSON 형태로 데이터를 반환해줄 수 있게 된다. 주로 SPA나 ajax,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와 같은 REST SERVER로서의 역할을 할 때 사용하게 된다.
@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GetMapping("/test/account")
@ResponseBody
public Account void(Account Account) {
return account;
}
}
위의 코드는 Account 객체를 반환하는 형태로써 클라이언트에서는 JSON 데이터로 Account 객체를 받게 된다.
@RestController
RestController는 Restful Controller의 준말로써, Spring MVC Controller에 @ResponseBody가 추가된 것.
@Controller 대신 @RestController 애노테이션을 붙여줌으로써 @Controller와 @ResponseBody 애노테이션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test")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Account test(Account account) {
return account;
}
}
출처:https://ooeunz.tistory.com/101
'스프링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한 Springboot course/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방언 (0) | 2023.04.13 |
---|---|
Containerless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3.04.13 |
Model이라는 데이터 전달자에 대해서 알아보기! 😊 (0) | 2023.04.11 |
@DataTimeFormat(Annotation)에 대해서 알아보기 😃 (0) | 2023.04.11 |
@RequiredArgsConstructor 상세 설명 (0) | 2023.04.06 |